반응형

미국주식 35

[투자일기] 2024년 중간 수익률 체크

10-Year Breakeven Inflation Rate (물가) 2.15% M2 통화량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중. 22 → 21VIX- 17.11 안정권FEAR - 뉴트럴(순환매/혼조새)기준금리 5.33/ 최근 FED에서 금리 인하 시사. 23년과 비교하자면, FED에서 2020년에 긴급으로 금리인하를 한 뒤로 계속 금리를 올렸고, 또 올린상태를 유지하고있었는데. 작년부터는 통화량의 증가폭도 줄이고 있는 상황.미국시장내 고용지수. 즉 실업율을 보면 최근들어서 다시 상향한 것으로 보여진다.(=경기둔화, 경제 활성도 낮음, 돈의 유동성 낮음, 생산성 낮음, GDP낮음, 경제불황 의미), FED의 파월은 연착륙(=금리인하)를 할 것을 가정했어서. 올해 금리인하를 한다고하였다. 금리를 인하한다는 뜻은 무엇인가..

[투자일기] 2023년 중간 수익률 체크

호황장이다. 근래들어서 보지 못했던 탐욕주간을 맞이한 기념으로 계속 조금씩 주식 정리중이다. 일전에도 최대 50%의 수익을 본 뒤로 계속 하락장이 왔었는데. 이번에도 한 두달간 파티가 이어진 4분기 즈음에는 정체를 맞이하거나 하락세를 맞이하지 않을까 추측. 엔비디아도 계속 상승세. 한주 두 주 씩 꾸준히 3분기 동안 계속 팔 예정. 2주에 한 번씩 기계적 매도. 전체 수량의 1/3으로 줄일 예정... 상승할때 올라타려하지 말고 하락할때 진입할 생각임으로.. 천천히.. 천천히.. 조급해 하지 않고 최대한 천천히 움직일 계획이다. 이번에는 놓치지말자 ^^!!! 아자아자!

[투자일기] 2022년 1분기 배당수입 확인하기($ 70.89)

수입이 솔찮다. 1월에 아기를 낳고나서 정신이 없어서 3월까지 계좌를 방치해두었음에도 불구하고 꾸준하게 배당수입금이 입금되었다. 아무것도 안하고 걍 방치해두었는데 $70가 들어오다니 완전 이득이다. 작년 이맘대쯤에는 얼마를 받았는지 확인해보니 $44.89 이다. 작년에 비한다면 수익이 꽤나 늘은 상태. 거진 $30가 안되게 늘었다. 우량주들이 배당금을 높인 탓도 있겠지만 O(리얼티인컴)과 같은 배당성향의 주식을 매입한 덕도 있겠다. 작년에 내 월급은 코로나 때문에 공무원들 인상률이 0.9%니까. 우리도 비슷하게 0.9%밖에 못올린다고했는데(하물며 호봉제도 아니었다.) 확실히 배당이 올라가는 속도가 내 월급이 인상되는 속도보다 배로 빠르다 ^^...ㅎ... 회사를 계속 다녔으면 월급을 꾸준하게 투자했겠지만..

[투자일기] 의도치 않은 미국주식 방치 계좌 확인하기

애시당초 아기를 낳는 순간부터 주식에 크게 신경을 못쓸거라는건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이정도까지 계좌를 손에서 놓고있게 될 줄은 몰랐었다. 1월에 아기를 낳고 어느정도 정신을 차리니 벌써 3월이었고 그 사이에 연준의 긴축정책과 러-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났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엄청난 하락장이 왔었던건데... 안타깝게도 아기에게 수유를 하느라 정신이 없어서 기회를 제대로 잡지 못한 안타까운 상황이다. 이미 러-우즈벡 전쟁 소재는 다 팔려서 어느정도 회복선에 올라와있는 상태인지라... 추가 하락이 있지 않는 이상 추매하기에는 주춤하게되는 형국.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아기를 돌보는데 정신이 팔려서 계좌 관리를 못할 것을 예상하고 포트폴리오를 리밸런싱 해두었던 덕에 한창 높았던 전체 수익률 50%에서 현재 ..

[투자일기] 2021년 4분기 미국주식 배당수익 확인 ($75.43)

4분기 미국주식 배당금 4분기도 이제 막바지에 다달했다. 12월중에도 계속있었던 조정에도 불구하고 주식계좌는 가장 높은 수익률(52.44%)을 달성했고. 분기 배당금도 올해중 가장 큰 금액이 입금되었다. 세후 배당입금액을 정리했을때 위와 같이 내용이 정리가 된다. 이번 4분기에 입금된 배당금이 가장 큰 금액으로 총 ($75.43)가 입금되었다. 연초에 계획하기를 연배당 $800을 초과하자는 것이었는데. 아무래도 목표치가 지나치게 컸었나보다. 당초 계획에 한 참 모자라는 금액이 달성되었다. 그러나, 전년에 입금된 배당총액이 $100를 살짝 넘는 금액이었기에 이번에 전년대비 두 배에 달하는 배당수익을 일군 사실에 어느정도 만족을 표해야겠다. 주린이 치고는 선방했다는 생각이 든다. 내년에는 지금보다 더 높은 ..

[투자점검] 2021년 내 자산은 얼마나 늘어났을까? 2021년 연말정산

회사업무를 손에서 놓게 되니 너무 심심하다. 아기가 세상에 나오기까지 마냥 기다리면서 시간을 소비하는 것도 너무 아까우니까...뭐라도 기록해놓자 싶었는데 생각난 것이 투자기간 연말정산하기!! 2021년 연초 대비 2021년 연말 시점에 나의 자산이 얼마나 늘어났는지 파악하는 글을 한 번 써볼까 한다. 나는 그동안 매월 가계부를 쓰듯이 나의 자산현황을 "자본가 되는 로드맵"이라고 이름 붙인 엑셀 파일에 정리를 해왔다. 2021년 1월에 2021년동안 모았으면 좋겠다고 목표로 삼은 자산은 8천1백만원이었다. 그런데 2021년 내내 투자를 하는 동안 환율이 오르고, 주식 수익률이 오르고 임신축하금과 보험료중도해지금 등이 들어오게되면서 목표치를 수정하게되었고 최종 목표치는 1억이 되었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

[투자일기] 미국주식이냐 한국주식이냐

요즘들어서 미국주식 vs 한국주식에 대한 생각이 들기 시작한다. 나도 첫 시작은 한국주식으로 시작하긴 했었으나... 이래저래 알아보고 공부하다보니까 결국 결론은 미국주식으로 났다. 그리고 그 생각은 시간이 지날 수록 점점더 공고해지고있다. 특히나 지금과 같이 일반적이지 않은 경제시장에서는 더더욱 그러하다. 미국에서 양적완화로 시장에 말도안되는 거의 십년치에 달하는 달러를 풀어버렸고 그로인해 인플레이션이 다가오는게 불보듯 뻔한 현실이다. 유가선물이 마이너스였던 때도 있고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을 때도 있었으며 금리는 저금리가되어 대출이 무분별하게 이뤄지기도했다. 시장에 돈이 넘치게되니 한국주식 또한 미국주식처럼 넘치게 올랐는데. 문제는 FOMC에서 양적완화를 줄이겠다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면서였..

[투자일기] 미국주식 시황_어마어마한 상승장

지난 한달간의 주식상승 퍼폼이 어마무시하다. 헝다그룹 파산설부터 시작되었던 주식하락장이 급격히 회복하면서 주식상승 반등이 어마어마했던 것. 테슬라는 한달간 상승률이 37.85%나된다. 우와우. 덕분에 30%대로 떨어졌던 나의 미국주식 수익률이 현재는 45%에 육박하게되었다. 다시보아도 굉장하다. 뭐 이번 상승장이 얼마나 갈지는 모르지만, 급격히 오른만큼 다시 약간의 조정이 있을 수 있으니 너무 일희일비 하지는 말아야겠다. 또 이렇게 회복되는 시장을 보면서 느끼는데. 공포에서 사야한다는 그 말이 몇 번이고 되새겨진다. 주가가 빨간불로 마구하락할때에 기회를 잡는 사람이 초록불을 즐길 수있다. 주식을 한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반복되는 주식조정장을 맞이할때마다 마인드가 다잡히는게 느껴진다. 처음 조정장을 ..

[투자일기] 2021년 3분기 미국주식 배당수익 확인 ($49.58)

지난 3분기까지의 올해 미국주식 배당현황정리! 워낙에 시드가 크지 않기 때문에... 배당도 그렇게 많이^^;; 받는 것은 아니지만. 올해 세웠던 배당목표 $800을 지나치게 높이 잡았었는지..ㅋㅋㅋ... 아주 큰 폭으로 배당금이 늘어나거나 하지는 않았다. 단, 지난년도부터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적립식으로 미국주식을 매수하고 있기 때문에 작년 동시기와 비교한다면 거의 3배에 가까운 배당금이 들어왔다. 2020년도 7월에는 배당금이 $18.42가 들어왔었다. 확실히 그때보다 배당종목이 많이 늘어나기도했기 때문에 배당금의 규모도 꽤나 커진 건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현재 투자하고있는 방향도 우량성장주/배당성장주 중심으로 투자를 하고있고. 아직 배당을 주지않는 신규성장주들은 포트폴리오의 비중을 5%를 넘지 않..

재테크 2021.10.07

[투자일기] 미국주식 관심종목 조정장 하락률 확인

시장분위기를 피어앤 그리드와 VIX 지수로 살펴보면 아직 공포장이 끝나지 않은 상태. 얼마안되는 시드지만 아직 900달러가량 남아있기에.. 뭐라도 더 줍고싶은 마음에 조정장이 좀 더 길어졌으면 한다. 내가 생각하는 저점보다 의도적으로 더 저점에 예약매수를 걸고 잠들고 있는데. 가끔 그 가격에 매수가 되는 경우가 있어서 놀라고도 기분이 좋은 때가 있다. 계속적으로 어떤 주식을 매수할 수 있을지 점검중인데 아래는 그 내용을 점검한 표 이다. 해당 표를 작성한 기준은 52주간 고점 대비 현재가 하락율, 그리고 핀비즈(FINVIZ)에서 참고한 종목 목표가, 20일, 50일, 200일 이동평균선으로부터의 낙폭 등 + 내가 나름 계산한 적정가를 하나의 표로 만들어보았다. 1순위로 구매할 만한 항목은 반도체장비주(A..

재테크 2021.10.06
반응형